티스토리 뷰
자동차 정기검사와 종합검사 비용과 차이점
자동차 검사를 몇 번 받아보신 분들도 계실테고, 여태껏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분들도 계실 겁니다^^ 그런데 검사를 몇 번 받아보신 분들도 정기검사와 종합검사를 헷갈려 하세용~!
정기검사는 몇 년에 한번 받아야 하고, 종합검사는 몇 년에 한번 받아야 하고. 보통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용. 아래에서 차이점을 간단하게 짚어드릴게용^^
자동차 정비상태가 불량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여러분들의 귀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 자동차 검사는 필수로 받으셔야 합니다^^
자동차 정기검사 및 종합검사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검사유효기간만료일 전후 각각 31일 이내에 받아야 하구용. 검사를 받지 않았을 경우에는 과태료과 부과돼용~!
검사를 받아야 할 기간 만료일부터 30일 이내인 때 2만원, 이후 매3일 초과시마다 1만원씩 추가되며, 최대 30만원까지 부과됩니다.
때문에 늦지 않게 자동차검사를 받는 게 가장 중요하구용.
내가 자동차종합검사 대상인지, 정기검사 대상인지는 내 차량이 등록되어 있는 지역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. 대도시는 무조건 종합검사지역이라고 보시면 될 것 되구용.
내 차량이 등록되어 있는 지역의 인구수가 10만 이상인 지역은 종합검사지역, 그 외 지역은 정기검사지역으로 구분됩니다.
다음은 정기검사나 종합검사를 언제 받아야 하는지도 알아봐야겠죠?^^
비사업용 승용 자동차 기준으로 서울에서 새 차를 출고하여 4년이 지나면 정기검사를 받게 됩니다. 그 이후에는 폐차시까지 2년마다 한번씩 무조건 종합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.
비사업용 경형 · 소형의 승합 및 화물 자동차는 검사주기가 1년이네용~!
자동차검사 수수료는 위의 이미지를 참조하시면 됩니다.
정기검사는 알아보기 쉽게 되어 있지만, 종합검사는 부하, 무부하, 배출면제로 나누어져 있습니다. 이 기준에 따라서 수수료도 달라지는데용~
무부하 검사대상은 소방자동차, 상시 4륜구동 자동차, 2행정 원동기 장착 자동차 등이 있습니다. 무부하 검사대상을 제외한 모든 자동차는 부하검사대상입니다.
자동차검사(종합 및 정기검사) 예약결제시 1,200원의 수수료가 할인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구용. 검사에약 및 결제는 사이버검사소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.